2022. 8. 31. 11:46ㆍYouTube로 수익창출하기 A to Z
유튜브 광고 분석 CPM이 뭔가요?
1,000회 노출 당비용(CPM)은 YouTube에 광고를 게재하기 위해 광고주가 지출하는 금액을 나타내는 측정항목입니다.
YouTube 분석에서는 다음 CPM 측정항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PM: 광고 노출이 1,000회 발생할 때마다 광고주가 지불하는 비용입니다. 광고 노출은 광고가 게재될 때마다 집계됩니다.
- 재생 기반 CPM: 광고가 게재되는 동영상이 1,000회 재생될 때마다 광고주가 지불하는 비용입니다.
CPM과 재생 기반 CPM의 차이점
광고주가 총 $7을 지불했다고 가정한다면 동영상의 노출 당비용은 광고주 비용 $7을 광고 노출 2,000회로 나눈 $0.0035입니다. CPM, 즉 1,000회 노출 당비용은 $0.0035에 1,000을 곱한 $3.50입니다. 재생 기반 CPM은 $7을 수익 창출 재생 1,500회로 나눈 다음 1,000을 곱한 $4.67입니다.
CPM이 반영하는 것은 발생한 수익이 아닌 광고주가 지불하는 금액이므로 CPM은 조회수와 CPM을 곱한 값이 아닙니다. 또한 모든 조회수가 광고 조회수와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광고주 친화적이지 않은 경우 일부 동영상에는 광고가 아예 게재되지 않습니다. 게재 가능한 광고가 없는 경우에도 동영상에 광고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광고가 포함된 조회수를 수익 창출 재생이라고 부릅니다.
연중 시기 : 광고주는 연중 시기에 따라 입찰가를 높이거나 낮추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많은 광고주가 휴일 직전에 입찰가를 높입니다.
시청자 지역 변경 : 광고주는 광고를 게재할 지역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광고 시장에서 지역별로 경쟁의 정도가 다르므로 CPM도 지역마다 다릅니다.
조회수의 대부분이 발생하는 지역이 변경되면 CPM에도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전에는 CPM이 높은 지역에서 조회수가 발생했는데 이제는 CPM이 낮은 지역에서 조회수가 증가하면
CPM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사용 가능한 광고 형식 배분의 변경 : 광고 유형마다 CPM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광고 인벤토리에 건너뛸 수 없는 광고가 많으면 CPM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YouTube로 수익창출하기 A to Z' 카테고리의 다른 글
[YouTube] 길이가 15분을 초과하는 동영상 업로드하기 (0) | 2022.09.02 |
---|---|
[YouTube] 콘텐츠로 발생한 수익 확인하기 (0) | 2022.09.01 |
[YouTube] 유튜브 광고 분석 RPM은 또 뭔가요? (0) | 2022.09.01 |
[YouTube] 콘텐츠를 등록하고 싶은데 세부정보를 입력 하래요. 어떻게 작성하나요? (0) | 2022.08.31 |
[YouTube] 수입 창출하기, 어디서 어떻게 하면 되나요? (0) | 2022.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