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신문 헤드라인] 2022.9.1.목

2022. 9. 1. 11:29신문읽고 경제알기

반응형

 

2022.9.1. 목 주요 신문 헤드라인
《경 제》


☞ 딜 취소에 눈물의 손절까지..금리 태풍에 휘청이는 M&A 시장... 가파른 금리 인상에 M&A 이상 현상... M&A 계약 체결 이후 무산 사례 속출... 매각 임박 매물은 '눈물의 손절' 감행... 금리인상 장기화.. 반등 기회 마련 촉각

☞ 플라스틱과 환경은 '선택' 아닌 '공존' ...기술 넘어 사회적 협력 통해... 플라스틱 순환 생태계 구축... SK케미컬 재활용 원료 비중... 2030년까지 100% 전환할 것

☞ "한 단에 8천 원" 시금(金)치 된 채소 가격.. 망설여지는 장보기... 대전 지역 시금치 가격 전년 대비 253% 급증.. 다른 채솟값도 줄줄이 올라... 폭염·폭우로 생산량은 줄고, 이른 추석으로 수요는 늘어

☞ "쇼핑했더니 자동차 보험료가 할인됐다"... 영국 테스코, 쇼핑 정보 보험료 할인 활용... 미국 렉시스 렉시스, 보험사 사망률 측정 고도화... 보험硏 "공공의료 데이터 활용 공감대 형성해야"

☞ 국민 지갑 꽉 닫혔다..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하락... 통계청, 7월 산업활동 동향 발표... 소매판매, 27년만 5개월 연속 감소... 물가 상승에 소비 심리 위축 영향


《금 융》


☞ 출렁이는 뉴욕증시… 러시아 증산 가능성에 국제유가는 5% 급락... 30일 뉴욕증시 일제히 하락... 긴축 불확실성 해소되었지만... 침체 불안감 속 매도 우위... 사우디가 감산 의지 강조하자... 러시아는 2배 증산 계획 밝혀... 국제 원유 시장 불확실성 증가

☞ 8월의 '공매도 폭탄'…이런 기업들이 맞았다... 가치 비해 지나치게 올랐거나... 실적·업황 안 좋은 기업에 몰려... 작년 350% 급등한 메리츠금융... 8월 공매도 비중 26%에 달해... 넷마블·LG디플 부진한 실적... 한샘·HMM은 업황 둔화 영향

☞ 韓美서 불어오는 '정책 훈풍'… 원전·태양광 ETF도 날았다... 원전 비중 확 높인 전력계획... 최근 상승세에 날개 달아줘...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는...美 인플레 감축법에 탄력

☞ 올해 주가 50% 뛰었다… 현대重 직원들도 '방긋'... 우리 사주 1인당 수익 2300만 원... 9월 17일 보호예수 해제 앞둬

☞ 유독 보험사에만… 발 묶인 공공의료 데이터... 건보공단 데이터 제공 늘어도... 보험사 요청 건에만 심의 지연... 보완해 재신청했지만 또 미뤄... 업계 "정보 오남용·유출 없... 의료서비스 향상 위해 꼭 필요"


《기 업》


☞ 경찰버스·청소차… 현대차, 수소차 영토 확대... 수소산업 전시회서 공개... 수소차 점유율 56%로 1위... 특장차 내년부터 본격 판매... 상용차 시장 먼저 공략 나서... 장재훈 "넥쏘 후속 연기 아냐"... 다임러·BMW도 수소차 도전

☞ 삼성, 협력사 자금난 해소 앞장… 대금 2조 1천억 추석 전에 지급... 작년보다 1조 3000억 늘려... 임직원 온라인 장터도 운영

☞ 화면 구부렸다 폈다…LG전자 '올레드 TV 플렉스'... 내달 독일 IFA서 첫 공개... 게임할 때 몰입감 극대화... 화면 높낮이 조절도 지원

☞ '번호 2개' e 심 내달 도입… 번호이동·알뜰폰행 예고?... 음성-데이터 분리, 저렴한 요금 골라 사용... 개통·번호이동 쉬워, 통신사 마케팅비 부담

☞ 정부, 모태펀드 결국 삭감… 벤처 한파 거세지나... 내년 예산 3135억…40% 급감... 이영 장관 "투자 황폐화 없을 것"... 업계 "경기 침체기 자금난 우려"


《부 동 산》


☞ 용산 2건, 마포 7건 실화냐?.. 역대급 '거래 종말' 시대... 부동산 시장 역대급 혹한기... 7월 서울 거래량 639건 최저... 8월엔 295건으로 더 줄 듯... 중구 3건, 서초 7건, 송파 10건... 올해 1~7월 생애 첫 매수자... 26.7만 명.. 작년보다 38% '뚝'

☞ '분양 물량 빨리 털자'…9월 공급 7년來 최대... 전국 63곳 5만여 가구 예정... 미분양 쌓이자 업계 고심

☞ 집값 계속 떨어지는데… 무주택자 내 집 마련 적기는 언제?... 하락장 재테크 전략은... 재건축 단지·꼬마빌딩 추천..."유망 상품 없다"도 14% 달해

☞ 금리 인상에 집값 꺾인다… 생애 첫 부동산 매수자 역대 최저... 올해 1∼7월 전국 26만 7천 명 그쳐…2010년 조사 이래 가장 적어... 대출부담·집값 하락 우려 영향…2030 세대 첫 부동산 매수자도 최저

☞ "해외 인프라 年 500억弗 수주" … 민관 '원팀 코리아' 띄운 정부... 중동 등 국가별 맞춤 전략 수립... KIND 법정 자본금 한도 2조로↑.. 원전 발주국엔 고위급 외교단 파견... 4000억 규모 PIS 펀드도 추가 조성


《사 회 유 통》


☞ 서울 하루 1000t 규모 새 소각장 상암동에 짓는다... 서울시, 2026년까지 건립... 마포 기존 시설 2035년 철거... 100억 규모 주민복지 기금... 1000억 주민 편익시설 조성... 오세훈 "용량 늘린 새 소각장... 현대화·지하화로 인식 바뀔 것"... 마포구 "또 우리냐" 철회 요구

☞ 특급호텔, 샤워실서 일회용 샴푸 없애라니… 벌어진 일은... 호텔 제공 욕실용품 어메니티... 규제 앞두고 다회용품 비치하자... 아예 통째로 훔쳐가 골머리... 일부 고객 빈 통에 담아 가기도

☞ 강남역 도배한 '현수막 전쟁'.. 교묘히 법망 피해 여전히 난립..."사과해라" "돈 달라는 소리죠"... 협력업체 게시에 보수단체 맞불... 삼성 사옥 인근 10여 개 걸려있어... 구청 정비안 마련에도 개선 안 돼

☞ 가습기 살균제 참사 11주기.. 피해 인정자 88% 배·보상 아직 못받아... 피해 인정자 88.3%, 기업 배·보상 못 받아...피해 인정자 75%는 옥시·애경 제품 사용..."정부·국회, 피해구제법 개정해 지원해야"

☞ 연봉 6000만 원 직장인, 부수입 2400만 원 있다면.. 건보료 月 2만 3300원 더 내야... 1일부터 바뀌는 건보료... 피부양자 등록된 은퇴자도...年소득 2000만 원 넘으면... 지역가입자로 강제 전환


《국 제》


☞ '러 대안' 찾던 유럽, 중동산 원유 수입 대폭 늘려... 중동 디젤유 수입 3년來 최대... 우크라戰 전보다 147% 증가... 겨울 에너지 공급처로 주목

☞ "인니 전기車 투자 선도한 韓, 보상받을 것"... 아르샤드 라스 짓 인니 상의 회장... 배터리 핵심 재료인 니켈... 세계 매장량 절반이 인니에... 동남아 최대 인구와 시장까지... 현대차·LG 등 초기에 진출..."한국은 믿을 수 있는 파트너"

☞ 대만, 中 드론에 첫 실탄 사격... 진먼섬 상공에 드론 보이자 실탄 경고 사격... 28일에는 신호탄 쏴서 돌려보내... 드론에 대한 공격이 양안 충돌 불러올 수도

☞ 코로나19 여파로 미국인 기대수명 3년 가까이 줄었다... 국립보건통계센터 "미국인 기대수명 2년 연속 하락"... 2019년 78년 10개월→ 2020년 77년→ 2021년 76년 1개월... 2차 세계대전 때에 비견.. 미국내서도 인종별 차이 커

☞ '틱톡' 댄스 영상 찍던 美 10대, 일행이 쏜 총에 맞고 숨져... 미성년자 3명, 틱톡용 댄스 영상 찍다 한 명 머리 총상... 과실치사 및 청소년 권총 소지 혐의로 청소년 2명 기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