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경제이슈]2022년 9월 2일 금요일

2022. 9. 2. 08:28신문읽고 경제알기

반응형


2022년 9월 2일 금요일



1. 현대차 美서 8월 판매 14% 증가… 기아는 22% 늘어
역대 각각 8월 최대… 투싼·스포티지가 판매 주도 지난달 미국 시장에서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신차 판매량이 각각 역대 8월 최고치를 기록했다.

2. 삼성전자, 첫 올레드 모니터 4분기 출시…'IFA 2022'서 최초 공개
34형 게이밍 모니터 '오디세이 G8'… 올레드 TV·모니터 제품 전시 삼성전자가 올레드 패널이 탑재된 게이밍 전용 모니터 신제품을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 'IFA 2022'에서

3. 잇단 금리 인상에… 서울 아파트값 3년 7개월 만에 최대 하락(종합)
거래 침체 지속… 분당·일산 신도시는 낙폭 조금 줄어 버티던 전북 아파트값도 하락 전환…17개 광역시·도 일제 마이너스 금리 인상과 거래 침체 여파로 서울을 비롯한 수도

4. 美정부, 엔비디아·AMD에 "AI용 반도체 중국 수출 중단하라" 통보(종합)
美, 中 반도체 산업 압박 강도 높여…中 "과학기술 패권주의" 비판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미국 반도체 대기업인 엔비디아와 AMD에 인공지능(AI)용 최첨단 반도체의 중국

5. 1 주택 종부세 특별공제 불발… 일시 2 주택 10만 명 중과 면해(종합 2보)
9.3만 명 특별공제 올해 시행 전제로 추후 논의… 소급적용 가능성 이사·상속 2 주택자는 1 주택 인정… 고령자 종부세 납부 유예 1세대 1 주택자의 종합부동산세 부담을 완화

6. "나도 모르게 쇼핑몰 수백만 원 결제"… 신용카드 부정사용 피해 잇따라
현대카드 소비자들이 최근 쿠팡 11번가 등 국내 유명 온라인 쇼핑몰에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 수백만 원이 결제되는 부정사용 사고를 당했다.

7. 무역적자 66년 만에 '최악'… 믿었던 반도체까지 꺾였다
지난달 무역수지가 94억 7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1956년 무역통계를 작성한 이후 66년 만의 최대 적자다.

8. 규제 풀었더니…'바이오 플라스틱 1조 투자' 길 열렸다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시설에 1조 원을 투자할 계획이었던 B사는 국내 시장을 발굴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을 우려해 투자를 망설였다. 국내에 별도 생분해성 플라스틱 회수·처리 시스템이 없는 데다 정부가 생분해성​

9. 뉴욕증시, 8월 비농업 고용 앞두고 혼조… 다우 0.46%↑마감
뉴욕증시가 8월 비농업 고용지표를 하루 앞두고 혼조세를 보였다. 고용 지표가 크게 나쁘지 않으면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행보가 강해질 수 있다는 인식​

10. 정부 "전세사기 뿌리 뽑는다"… 전입신고前 집주인 대출 제한
앞으로 임차인이 전입 신고를 마치기 전까진 집주인의 해당 주택 매매나 근저당권 설정이 어려워진다.

11. 강남·서초구 신고가 거래 98% 실종
서울 강남·서초 지역의 신고가 거래가 석 달 전보다 9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2. 천안에 첫 롯데캐슬…"특화설계 비교 불가"
“재건축·재개발 등 도급사업 때는 못 해본 특화 설계를 마음껏 적용했습니다. 내부 설계에서부터 상품성을 최고로 높여야 경쟁력을 갖춘다고 봅니다.”

13. 나쁜 집주인' 명단 공개… 자가진단 안심 앱, 사기 막는다
정부가 전세금을 제때 돌려주지 않은 악성 임대인 명단 공개

14. 삼성 ‘초연결’ LG ‘신제품’… 유럽 가전 소비자 눈길 잡는다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인 ‘베를린 국제 가전박람회(IFA 2022)’가 독일 베를린에서 현지시간으로 2일 막을 올린다.

15. 서울 아파트값 최대폭 하락
역대급 거래 실종 속에 급매물만 시세에 반영되며 아파트 가격 하락세가 더욱 가팔라지고 있다.

16. [속보]'파월 쇼크' 딛고 장 막판 급등… 미 증시 혼조 마감
미국 뉴욕 증시의 주요 3대 지수가 1일(현지시간) ‘파월 쇼크’ 여진이 지속하면서 혼조 마감했다.

17. [단독] 반도체 수급 좋아진다더니 더 늘어난 현대차 신차 대기…"싼타페 HEV 20개월"
현대자동차 그룹 신차 출고 대기 기간이 줄어들기는커녕 길어지고 있다.

18. 美 이어 우리도 영유아 백신 접종 '만지작'… 전문가들 "열어줄 때 됐다"
우리나라도 4세 이하 영유아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필요성을 본격적으로 논의할 전망

19. 반도체 관련주, 업황 우려에 '우수수'… "D램 가격 하락 지속 전망"
글로벌 반도체 업황 우려가 고조되면서 국내 증시에서도 반도체주가 일제히 약세

반응형